• 2023. 4. 29.

    by. 부의버디

    728x90
    반응형

    <공중보건학의 유사 학문>

    1. 공중위생학

    환경 위생에 중점을 두고 인구집단의 질병 예방 및 건강관리를 다루는 학문

     

    2. 예방의학

    의학에 기초를 두고 개인 또는 가족 중심으로 질병예방 및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학문

    예방의학이라는 용어는 공중보건과 관련이 있습니다. 그만큼 미국 예방 의학위원희는 예방 의학의 세 가지로 구분합니다.

    (항공 우주 보건, 산업 보건, 공중 보건 및 일반 예방 의학) 정, 보리스, 루쉬니악은 예방의학을 공중보건의 전문 분야로 간주해야 한다고 주장하지만, 미국 예방의학회와 미국 예방의학회는 "공중보건"이라는 용어를 두드러지게 사용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예방의학 전문가는 임상의로서 훈련을 받았으며 질병 예방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평가하고, 이를 실행하기 위한 최선의 방법을 사용하며, 그 효과를 평가하는 등 인구의 복잡한 건강 요구를 해결합니다.

     

    3. 지역사회 보건학

    지역 사회를 대상으로 지역사회가 주체가 되어 보건 문제 해결에 관한 학문

     

    4. 지역사회 의학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그 지역의 보건의료문제 해결에 관한 학문

     

    5. 사회의학

    질병 또는 건강과 관련된 사회적 요인을 규명하여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학문

     

    6. 건설의학

    최고 수준의 건강상태 도달을 목표로 건강을 향상시기기 위한 학문

     

    7. 생활습관 의학

    생활습관 의학은 질병을 예방하거나 되돌 기기 위해 개인의 생활 습관 교정을 사용하며 예방 의학 및 공중 보건의 구성 요소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이는 그 자체로 전문 분야라기보다는 일차 진료의 일부로 시행됩니다. Valles는 사회 의학이라는 용어가 인구 건강이라는 용어보다 더 좁고 생물 의학적인 초점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합니다.

     

    8. 인구보건

    1990년대 이후 공중보건 분야의 많은 학자들이 인구보건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인구 건강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의학 전문 분야는 없습니다. Valles는 건강 형평성을 고려하는 것이 인구 건강의 근본적인 부분이라고 주장합니다. 코곤과 피엘케 같은 학자들은 일반적인 부의 분배 문제를 인구 건강에 도입하는 것에 대해 우려를 표명합니다. 피엘케는 인구 건강의 "스텔스 문제 옹호"에 대해 우려합니다. 정, 보리스, 러쉬니악은 인구 건강을 전문 예방의학을 통해 실행되는 공중보건이라는 활동의 목표인 개념으로 간주합니다.

     

     

     

    <의학과 공중보건학의 차이>

    구 분 공중보건학 의학
    대 상 지역사회 주민 개인
    목 표 질병 예방 질병 치료
    진 단 보건통계자료를 이용한
    지역사회진단
    임상검사를 통한
    임상적 진단(R/O)
    해 결 방 안 보건환경관리 및 
    보건의료서비스 
    투약, 처치, 수술 등의
    직접적인 치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