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28x90반응형
환경위생의 개념
인간의 신체 발육, 건강, 생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거나 미칠 가능성이 있는 모든 환경요소를 관리하는 것
-WHO, 환경위생전문위원희환경보건이란?
인간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을 연구하고 관리하는 것
출처: 프리픽 <오늘날 환경보건에 대한 문제점>
오늘날 전 세계 사람들의 건강을 위협하는 환경 보건과 관련된 시급한 문제가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문제 중 일부와 잠재적인 해결 방안에 대해 논의합니다.
1) 기후변화(Climate Change)
기후 변화는 우리 시대의 가장 중요한 환경 보건 문제 중 하나입니다. 대기 중 온실가스, 주로 이산화탄소의 축적으로 인해 지구의 온도가 상승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온난화 추세는 극심한 기상 조건, 전염병 확산, 식량 및 식수 불안정, 지역 사회 이주와 같은 여러 가지 건강문제를 야기하고 있습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풍력, 태양광, 수력 등 청정 에너지원을 도입하여 온실가스 배출을 줄여야 합니다. 정부는 이러한 기술의 개발과 채택을 장려하는 정책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개인도 대중교통을 이용하고, 에너지 효율이 높은 가전제품을 구입하고, 퇴비화 및 재활용과 같은 지속 가능한 관행을 채택하여 탄소를 줄이는 방법이 있습니다.
2) 대기 오염(Air Pollution)
대기 오염은 전 세계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환경 보건 문제입니다. 대기 오염은 입자상 물질, 질소 산화물, 이산화황, 오존과 같은 유해 물질이 대기 중으로 방출되어 발생합니다. 대기 오염에 노출되면 호흡기 및 심혈관 질환, 폐암 및 기타 건강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정부는 산업 및 교통수단에 대한 배출 규제 시행, 대중교통 이용 장려, 청정 에너지 기술에 대한 투자 등의 정책을 시행하여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개인은 교통량이 많은 지역을 피하고, 가정에서 공기청정기를 사용하여 대기 오염에 대한 노출을 줄일 수 있습니다.
3) 수질 오염(Water Pollution)
수질 오염은 전 세계적으로 수자원의 수질에 영향을 미치는 심각한 환경 보건 문제입니다. 수질 오염은 화학물질, 병원균, 영양분과 같은 유해 물질이 수역에 유입되어 식수나 기타 용도로 사용하기에 부적합한 상태로 만들 때 발생합니다. 이 문제는 콜레라, 장티푸스, A형 간엽과 같은 수인성 질병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정부는 수질 기준 시행, 산업 폐수 배출 규제, 폐수처리시설에 대한 투자 등의 정책을 시행하여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개인도 적절한 폐기물 처리, 수자원 절약, 가정 내 유해 화학물질 사용 자제 등을 실천함으로써 이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4) 생물 다양성 손실(Biodiversity Loss)
생물 다양성 손실은 전 세계적으로 동식물의 다양성과 풍부함이 감소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문제는 주로 삼림 벌채, 서식지 파괴, 천연자원의 과도한 개발과 같은 인간 활동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생물 다양성 손실은 전염병 확산, 의약 자원 손실 등 여러 가지 보건 문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정부는 자연 서식지 보호, 천연자원 사용 규제, 지속 가능한 관행 장려 등의 정책을 시행하여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개인도 환경 보호 노력을 지원하고, 일회용품 사용을 줄이고, 지속 가능한 소비 관행을 채택함으로써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5) 화학물질 노출(Chemical Exposure)
화학물질 노출은 살충제, 납, 수은과 같은 유해 물질에 노출되어 발생하는 건강 문제입니다. 이러한 물질은 섭취, 흡입 또는 피부 접촉을 통해 인체에 유입될 수 있으며 암, 발달 장애, 신경 장애와 같은 여러 건강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정부는 유해 물질의 사용을 규제하고, 더 안전한 대안을 홍보하며, 노출을 줄이기 위한 조치를 시행함으로써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개인은 유해 물질을 취급할 때 보호 장비를 사용하고 유해 화학물질이 포함된 제품의 사용을 피함으로써 노출을 줄일 수 있습니다.
728x90반응형'공중보건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7. 환경위생 - 기후(Climate) (0) 2023.05.08 6. 환경위생 - 공기 (0) 2023.05.03 4. 공중보건학의 발전 과정 (0) 2023.05.02 3. 일차보건의료(Primary health care)의 출현배경과 접근방법 (0) 2023.04.29 2. 공중보건학의 유사 학문 (0) 2023.0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