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28x90반응형
1. 우리나라 보건행정기관 사이트 안내
(1) 보건행정 주관처-보건복지부
https://www.mohw.go.kr/react/index.jsp
(2) 학교보건-교육부
https://www.moe.go.kr/main.do?s=moe
(3) 산업보건-고용노동부
https://www.moel.go.kr/index.do
(4) 환경보건-환경부
http://me.go.kr/home/web/main.do
(5) 지방보건행정-행정안전부
https://www.mois.go.kr/frt/a01/frtMain.do
(6) 식품의약품관리-식품의약품안전처
https://www.mfds.go.kr/index.do
우리나라의 보건 행정은 국가의 의료 시스템 및 서비스의 관리 및 조직을 포함합니다. 우리나라 정부는 국민에게 고품질의 접근 가능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의료 부문을 감독하고 규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우리나라 보건 행정의 주요 측면입니다.
(1) 보건복지부:보건복지부는 보건 행정을 담당하는 중앙 정부 기관입니다. 건강 정책을 수립하고 건강 관리 전략을 개발하며 다양한 건강 프로그램 및 이니셔티브의 구현을 감독합니다. 보건복지부는 다른 정부 기관, 의료 기관 및 이해 관계자와 협력하여 공중 보건을 증진하고 의료 서비스의 효과적인 전달을 보장합니다.
(2) 국민건강보험:
국민건강보험(NHI) 제도라는 보편적인 의료제도가 있습니다. NHI는 의료 서비스에 대한 공평한 접근을 보장하기 위해 모든 대한민국 국민에게 의무적인 건강 보험 보장을 제공합니다. NHI는 국민건강보험공단(NHIS)에서 관리하며 고용주, 직원 및 정부의 기부금을 통해 자금을 조달합니다.
(4)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국민건강보험제도에 따라 의료비 청구 및 서비스를 심사·평가하는 독립기관입니다. 심사평가원은 의료비, 진료의 질, 상환 정책을 규제하고 모니터링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의료 관행 및 치료의 평가 및 평가를 통해 의료 시스템의 투명성과 효율성을 촉진합니다.
(5) 공중 보건:공중 보건 행정은 질병 예방, 건강 증진 및 비상 대비에 중점을 둡니다. 질병관리본부(KCDC)는 질병 감시, 발병 조사 및 공중 보건 정책 집행을 담당하는 주요 공중 보건 기관입니다. 질병관리본부는 감염병 관리, 공중보건지표 모니터링, 비상대응 조율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6) 의료 인프라:
병원, 진료소 및 의료 시설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잘 발달된 의료 인프라를 갖추고 있습니다. 의료 시스템은 공공 및 민간 제공자로 구성됩니다. 정부는 의료 시설을 규제하고 품질 표준을 보장하며 환자 안전을 증진하는 역할을 합니다.
(7) 건강 정보 시스템:
건강 정보 시스템에서 상당한 발전을 이루었습니다. 전자 의료 기록(EMR)은 널리 사용되어 의료 제공자 간에 효율적인 데이터 공유 및 통합을 가능하게 합니다. 정부는 의료 서비스 제공을 강화하고 연구를 촉진하며 증거 기반 의사 결정을 지원하기 위해 의료 정보 기술의 사용을 장려합니다.
(8) 건강 증진 및 예방:
다양한 방법을 통해 건강 증진 및 예방을 강조합니다. 정부는 건강한 생활 방식을 장려하고 건강 교육 캠페인을 실시하며 흡연, 비만 및 만성 질환과 같은 공중 보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방 조치를 구현합니다. 암 및 예방 접종과 같은 질병에 대한 검진 프로그램도 예방 의료 노력의 일부입니다.
우리나라의 보건 행정은 국민을 위한 의료 서비스의 접근성, 경제성 및 품질을 보장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정부는 새로운 건강 문제를 해결하고 건강 형평성을 촉진하며 시민의 전반적인 복지를 향상하기 위한 정책과 이니셔티브를 지속적으로 구현합니다.2. 보건행정과 일반행정의 차이
일반행정과 보건학적 기술의 통합으로 "기술행정"으로 볼 수 있습니다.
3. 우리나라 과거 역사 속 보건행정기관
(1) 제생원 : 서민구료기관
(2) 전형사 : 의약 취급
(3) 전의감 : 일반 의료행정 및 의과고시 담당
(4) 활인서 : 감염병환자 치료 기관
(5) 혜민서 : 서민의료의 담당
(6) 내의원 : 왕실의료의 담당
4. 우리나라 중앙보건행정조직의 발달 순서
사회부 -> 보건국 -> 보건부(1949) -> 보건사회부(1955) -> 보건복지부(1994) -> 보건복지가족부(2008) -> 보건복지부(2010)
5. 우리나라의 보건행정사
삼국시대 : 최초 의료서적
고려시대 : 혜민국
조선말기 : 종두규칙 공포
일제강점기 : 단속 및 규제행정
미군정시대 : 보건후생부 개칭
728x90반응형'공중보건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34. 우리나라의 건강보험제도 (0) 2023.05.28 33. 사회보장(Social Security)의 개념과 정의, 목적, 형태 (0) 2023.05.27 31. 보건행정의 개념과 역사 (0) 2023.05.27 30. 정신보건관리사업 (0) 2023.05.26 29. 산업보건의 정의와 목표 산업안전보전 규정 (0) 2023.05.25